생각/잡담 6

거짓말 반복의 매커니즘

최근에 "거짓말"로 부터 커다란 정신적 데미지를 겪은 일이 있었다.이 데미지는 "잠시 고통스러운 정도"에서 멈추지 않고 일상과 "중요한 의사결정 상황에서의 혼란"을 야기시키고대인기피 현상까지 나타나는 큰 타격을 받게된 사건아직도 말끔하게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 나름대로의 정신적 회복을 위해 "거짓말"에 대해 정리해본다.이러한 과정이 나에게는 사실을 받아들이고 감정을 정리하는 방법일 수도 있기 때문에...※나의 전제대부분의 사람은 스스로 나쁜 의도임을 인식하면서 거짓말 하지는 않을것 이다. 구분 정의 수혜 대상 도덕적 인식 뇌 활성 영역 예시 이기적 거짓말 (Selfish Lie)거짓으로 본인만 이득을 보는 행위본인만부정적. 사회적 용인 낮음vmPFC 활성 높음 (자기이익 계산) 업무 보고..

생각/잡담 2025.07.09

생각과잉자

“생각과잉자”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는가? 한마디로 생각을 너무 많이 하는 사람을 말한다. 그것은 가령 교통사고가 날뻔한 사건이 있었다고 가정할때, 보통 사람은 ‘아 큰일날뻔 했다. 조심해야지’ 정도로 사건과 일차적으로 관련된 생각만 한다면 생각과잉자는 ‘내가 보험은 들었던가?’ ‘내가 사망했을때 우리 가족은 어떻게 살지?’ ‘내 장례식에 찾아오는 사람이 적으면 내 가족들이 창피하겠지?’ 등등 사건과 연 관되는 너무나 앞서나가는 수없이 많은 생각이 동시다발적으로 순식간에 머리속에 떠오르는 사람이다. 하나의 사건에도 여러가지 긍정적인것과 부정적인 생각이 동시에 들기때문에 혼란도 있기도 하고 그것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있으면 더 많은 생각들이 꼬리를 물어 더욱 복잡한 상태에 빠지게 된다. 그래서 그들은 이..

생각/잡담 2022.05.22

우뇌형 인간

우뇌는 현재의 순간을 산다. 우뇌는 감각 정보·직관·본능을 중시한다. 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아주 사소한 하나의 요소에서 출발하더라도 전체를 재구성한다. 우뇌는 뭔가를 알면서도 그것을 어떻게 아는지 설명할 수 없을 때가 많다. 이들의 특징은 바로 우뇌 발달에 따른 감각 과민이다. 이런 경향은 세계에 대한 지각의 폭을 크게 확장시키고 감수성을 고양한다. 감각이 과민한 사람들은 감수성도 민감하게 발달한다. 예리한 감각을 가졌기에, 모든 상황에서 보통 사람들에 비해 훨씬 많은 정보를 원치 않아도 습득할 수밖에 없다. 금세 눈물을 글썽이고, 발끈하며, 스트레스에 쉽게 노출된다. 그러나 타인과 자신의 느낌을 공유하고자 하면 상대방은 대게 상처가 되는 말을 내뱉는다. 자신이 느낀 대로 말했을 뿐인데 말이다. 조..

생각/잡담 2022.05.22
반응형